백두대간(졸업)/백두·우듬지(완주)

우듬지 1구간(돌고지재=>계봉=>안심마을)

부뜰이(윤종국) 2017. 4. 20. 00:56



백두대간/우듬지 란?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에 의해 백두대간이 우리나라의 모든 산줄기는 동서로 양분한다고 전제할 때 산경표의 시작점인 백두산에서는 압록강과 두만강이 동과 서로 갈라지나 그 끝점인 지리산에 와서는 동서로 가르는 물줄기가 없이 엉거주춤하게 되였다.

나라 전체의 윤각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도 없이 두발로 걸어 올라 나라 전체의 물줄기와 산줄기를 도표로 만듦에 있어서 세세한 부분까지 언급하며 기록 할 수는 없었겠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나라 등뼈에 해당하는 백두대간의 마지막 지점이 어디냐를 놓고 많은 이견들이 나타나기 시작 하였다.

산경표에서 마감한 지리산 이후의 산길에서 물을 만나 산과 산줄기로써의 기능을 잃고 산과 물이 만나 하나되는 지점까지의 산줄기에 관한 의견들인 것이다.

지리산 천왕봉에서 시작하거나 또는 마무리하던 백두대간 산행을 언제부턴가 웅석봉에서 백운산으로 또는 진양호까지 연장하여 진행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도 물길을 가르는 기능이 없어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축소된 듯 보인다.

지리산 천왕봉을 지나 가장길게 연장하여 진양호까지 이여간다 하더라도 마루금 양쪽의 물은 모두 남강물로서 원래 산줄기를 정했던 물길이 동서로 가르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산줄기가 더 이상 이여지지 못하는 지점까지 가거나 왔다는 의미는 있으나 물길을 가르는 분수의 역활은 영신봉을 넘으면서 이미 끝이 났기 때문이다,

신산경표에서는 백두대간을 연신봉에서 계속 남으로 이어 노량 앞바다에서 마감을 했는데 이럴 경우 낙동강과 섬진강을 가르면서 나라의 물줄기를 온전히 동과 서로 양분하는 산줄기가 가능하지만 이럴경우 산경표의 낙남정맥과 일부 겹치게 되여 산경표의 일부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는데 우듬지와 낙남정맥이 분기하는 옥산을 낙남정맥의 시작점으로 내려야 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다른 맥들처럼 이름짓기가 용이하질 않는데. 먼저 백두대간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별도의 지맥으로 볼 것인가 부터 쉽지 않다 보니 신 산경표의 백두대간 꼬리 또는 신 백두대간이라 불려지기도 하는데. 그 중에서 순수 우리말인 우듬지를 택해 백두대간 우듬지로 정한다.

우듬지란 순수 우리말로서 나무 꼭대기의 가지 윗부분 줄기를 뜻한다.


신 백두대간 이라 불리고 금오지맥 또는 섬진지맥 이라고도 하는 우듬지.


백두대간인 지리산 영신봉에서  마지막으로 분기되는 산줄기가 낙남정맥이다.

시작점은 지리산 주능선을 이루며 솟은 20여개의 봉우리 중에서도  신령스러움이 으뜸이라는 영신봉(靈神峰.1652m)이다.

그 후 경상남도 땅의 수려한 봉우리들을 두루 거치고 낙동강 하구에 그 꼬리를 담그는 도상거리 232km의 산줄기이다. 

낙남정맥 돌고지재에서 1.5km지점인 547봉에서 남쪽으로 산줄기 하나가 분기하니 이를 우듬지라고 한다.

영신봉부터 547봉까지는 낙남정맥과 겹치는 구간이고 이미 1년전에 낙남정맥을 완주 했으므로 우듬지는 돌고지재에서 시작한다. 

오늘 그 길을 가기위해서 인천교육청 앞에서 21시22분에 출발한다.



백두대간 우듬지

걸어온 우듬지 길.20.4km

(돌고지재에서 분기점까지는 접속 구간으로 분류한다1.5km)/8시간47분


산행일=2017년4월16일

산행지=백두대간 우듬지 1구간(하동)

산행경로=돌고지재=>467봉=>526.7봉=>우듬지분기봉(547)=>473봉=>497봉=>481봉=>450봉=>일천봉(489)=>선기동봉=>해돋이봉(377)=>황토재=>수구재=>339봉=>310봉=>283봉=>살티재=>477봉=>505봉=>계봉(548시루봉)=>중고개=>397봉=>편백나무숲=>290봉=>봉골재=>244봉=>구영고개=>218봉=>161봉=>남해고속도로(안심마을)

거리 및 소요시간=우듬지 길20.4km(접속1.5km)/8시간47분






돌고지재에 도착한 시간이 새벽 3시반쯤 된거 같다.

각자 장비를 챙기고 분주한 시간이 지나고 4시가 안된시간에 산문에 든다.

 

돌고지재 주변 풍경들






옥산4.4km라 가리키는 쪽으로 시멘트 임도길로 올라간다.


1분쯤 진행하면 다시이정목이 있고 임도길을 버리고 우측 숲길로 올라간다.

근거리에 마루금을 두고 진행되고 가끔씩은 마루금을 이리저리 넘나들기도 한다.

우듬지에 의미를 두기에 낙남정맥을 완주한 몇몇은 분기점까지 임도길로 가기로 한다.


10분쯤 진행하면 다시 임도길과 만나고 길 건너에 산불감시 초소가있는 527봉에 올라선다.

이곳이 조망이 아주 좋다는데.

깜깜한 밤이라 볼 수가 없고 1년전에 낙남정맥을 진행할때는 억수로 쏫아지는 우중 산행이라 암것두 못밧던 기역이 난다.


분기점을 200~300m정도 남긴 지점에서 무루금으로 올라간다.

돌고지재에서 1.5km지점인 우듬지 분기점에 도착한다.

사진 한장찍고 본팀이 오길 기다린다.

오늘은 전속모델인 천왕봉이가 못와서 이정표만 찍게 생겼다.




분기봉에서 가파르고 어수선한 길을 15분 내려오니 다시 임도길에 내려서고 거리표시가 없는 이정목이 서있다.

화정쪽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부터 일천봉까지 거의50분을 도로길을 걷는다.




산벗꽃


일천봉이 850m라는 이정목을 보았는데.

무심코 걷다보니 일천봉을 지나버렸다.

일행 30명중 일천봉을 가겠다는 분이없다.


혼자서 200여m를 역으로 올랏다가 내려가니 일행들 불빛은 하나도 안보인다.

아마도 500m이상은 앞서 갔을 것이다.


일천봉에 삼각점


일천봉에 내가 다녀간 흔적을 남기고 서둘러 내려간다.

일천봉에서 내려와 3분정도 임도길을 걷고 숲속으로 올라서니 선답자들 후기에서 본 돌무덤이 있고 희미한 길을 10분정도 빠르게 진행하니 다시 임도길이 보이고 앞서간 이들의 불빛이 보인다.


혼자서 급히 내려오다 보니 날이 밝아오고 임도길 삼거리에 민가가 한체보여서 지도를 꺼내서 확인해보니 해돋이봉을 지난 위치이고 황토재로 확인이 된다.





황토재에서 가볍게 한봉우리 넘으니 2번도로가 지나는 수구재에 떨어진다.


시루봉까지는 4.1km라고 안내한다.


수구재는 하동군 양보면과 북천면으로 갈리는 면계 지점이다.




수구재에는 버스정류장도 있는데 현위치가 황토재라고 되여 있다

산행지도에는 황토재와 수구재가 따로 표시되여 있다.


버스시간표를 보니 서울행버스도 있다.

저쪽 주유소쪽에 휴게소가 있는데. 아마도 매표는 휴게소에서 하지 싶다.

확인은 안해보았씀.


그리고 이명산 등산안내도가 있다.



수구재에서 아침식사 시간을 갖는다.

돌고지재에서 8.9km지점이고 3시간10분이 지났다.

아침식사 참 푸짐하게들 드신다.

나는 항상 간단하게 물김치에 밥한덩이 말아서 몇분만에 식사 끝.


식사가 먼저끝난 서너명이 먼저 자리를 뜨고 체 10분이 안되서 조망이 시원하게 트이는데.

다음 구간에 지나게 될 금오산이다.


세분은 그냥 임도길로 진행하고 나홀로 340.4봉을 올라본다.


340.4봉에 삼각점은 곤양442.


340.4봉에서 내림길은 사람이 언제 지나 갔는지 짐작도 할수 가 없다.


남쪽이라 그런지 5월중순에나 피는 철쭉이 벌써 만개를 했다.


지나온 수구재가(황토재) 1.4km이고 가야될 시루봉이 2.2km는 이정목을 지나고. 


움푹파인 고개의 흔적이 있어서 확인해보니 살티재인거 같다


길 참 좋다.

이런길만 걷는다면 하루 백리길도 거뜬히 걷겠다.


원체 고도차가 없다보니 봉우리란 느낌도 없는데 삼각점이 있다.

시루봉이 얼마남지 않은 지점이니 477봉인거 같다.


계봉(시루봉)이 가까이 보인다.


정상에 올라서니 이명산.시루봉이라 되여있는데.

산행지도에는 계봉이라 표기되여 있고. 이명산은 마루금에서 동쪽으로 벗어나 있다.


뒷면


계봉을 달구봉 이라고도 하나보다.


뒷면에는 달구봉이란 이름이 생긴 전설이 적혀있다.


개고개쪽으로 진행한다.


상사봉 정상이라 가리키는 곳이 산행지도에는 이명산이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여지는 지리산 백두대간 마루금.

천왕봉이 선명하게 조망된다.


진행방향 쪽으로 금오산 다음 회차에 지나게 될 산이다.


앞에 보이는 뾰족한 저 봉우리가 지도상에 이명산이다.


이명산 우측과 좌측으로는 다도해가 보인다.




볼수록 아름다운 한폭의 그림이다.




조금 당겨도 본다.


금오산 우측으로는 호남의 끝자락 광양산업단지도 보이는데.

사진으로는 구분이 여렵다.




유난히 뾰족하게 눈에 들어오는 억불봉.




계봉에서 6분정도 내려오면 좌측으로 소원성취탑이 있다.


소원성취탑은 그냥 작은 돌탑일 뿐 별다르진 않더라.


소원성취탑에서 금오산 한번 더 바라본다.


계봉(시루봉)에서 15분정도 내려오니 묘지가 있는데 공터가 엄청나게 넓다.

뒤돌아본 계봉(시루봉)

여기 위치가 중고개이다.

중고개에서 많은 선답자들이 알바을 했다고 해서 집중적으로 공부을 한 곳이다.

덕분에 어렵지않게 진행할 수 있었다.


중고개에서 한봉우리 올라서니 역시 소문대로 길이 안보이고 긴가민가한 히미한 길을 내려서니 편백나무숲이 나온다..


편백나무 숲에서 돌아보니 시루봉에서 내려오는 고속도로가 보인다.

마루금에 길이 희미한 이유를 알았다.




앞으로 쭉~욱 진행한다.

편백나무 숲을 지나면 그리 심한편은 아니지만 약간 성가실 정도의 잡목숲을 지난다.


편백나무 숲을 지나고 한봉우리 가볍게 넘으니 트렉터와 이상한 농기계가 있는 곳에서 앞을 보니 마루금상에 290봉이 보이고 좌측으로 임도길이 보이는데 290봉을 좌측으로 돌아가는 길이다.

임도길로 진행한다.


앞에 트랙터가 있는 곳에 좌측으로 임도길이 있다.


임도길로 30분정도 진행하니 290봉을 넘은 지점이고 임도길이 마루금을 넘어가는 지점이라 여기위치에서 좌측 숲으로 들어간다.

여기 위치가 봉골재이다.


마르금에 왠 물?

시원하게 세수도하고 한병 담아간다.


신설 임도인지 시멘트포장상태가 깨끗하다.

양보쪽은 포장이 되였고


진교쪽은 비포장 임도이다.


지교면 월운리 마을 규모를 보니 꽤 많은 구가가 거주하나 부다.


계봉(시루봉)에서 40여분만에 구영고개에 내려선다.


좌측이 내려오는 쪽이고 도로를 횡단하여 우측으로 올라간다.

우듬지 전체거리가 32km쯤 된다.

돌고지재에서 여기까지 17km가 찍혔으니 중간 지점쯤 되는거 같다.


구영고개 소나무 그늘 좋은 묘지에서 한참을 쉬여간다.




무시무시한 경고판 대체 어떤함정을 매설했을까?


진교면에 관곡리 농경지


구영고개에서 오늘 날머리인 안심마을까지는 5km. 거의 4km을 임도길과 포장도로을 걷는다.






콩크리트 구조물 공장앞을 지난다.


아직도 한참을 더 내려가야 한다.






앞에 남해고속도로가 보이면 여기가 오늘 산행을 종료할 안심마을 입구이다.

고속도로는 여기 굴다리로 통과 한다.




모든 기록은 여기서 종료한다.




이후 진교로 이동하여 미리 섭회해둔 목욕탕에서 산행으로 달아오른 열기를 식히고 진교면 술상리로 이동하여 예약된 횟집에서 하산식후 14시에 출발하여 1차로 잠실에서 한팀이 내리고 고양시 화정역에서 한팀이 내리고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교육청에 도착하니 20시30분이 훌쩍 넘어간다.






오늘 수확한 고사리와 약간의 두룹

흐르는 曲: Green Green Grass Of Home - Tom Jones (톰 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