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표/1대간9정맥/162지맥 지도 지도및 산경표백두대간 지도들 연결9개 정맥 지도들 연결11개 기맥 지도들 연결지맥 지도들 연결산경표 신 산경표 전도 남·북한 정맥·지맥자료/1대간·9정맥·162지맥 지도 2018.06.30
신 산경표 1대간12정맥12기맥(박성태님 자료) 신 산경표 대간·정맥·기맥 명칭 시작 끝 비고 백두대간 백두산 하동군 노량 정 맥 (12) 관북정맥 북부대간 남설령분기점 오갈단 두만강(서) 관서정맥 북부대간 소마대령분기점 연대산 압록강(남) 청천정맥 관서정맥 웅어수산 광량만 대동강(북) 해서정맥 중부대간 두류산 송곶산 대동강(.. 남·북한 정맥·지맥자료/1대간 12정맥12기맥 2017.02.08
북한의 153지맥(박 성태님 자료) 신 산경표 지맥 <북한> 보기 신산경표 주요지맥 주요지맥 지 맥 지 맥 신산경표에서 이름을 붙이지 않은 지맥 지 맥 검덕지맥대덕지맥두류지맥등산지맥만탑지맥민봉지맥백삼지맥연화지맥장산지맥천산지맥가덕지맥 각고지맥각대지맥각봉지맥감토지맥개재지맥거두지맥거문지맥건.. 남·북한 정맥·지맥자료/북한의 153지맥 2017.02.08
남한의 162지맥(박 성태님 자료) 신 산경표 지맥 <남한> 보기 신산경표 주요지맥 주요지맥 지 맥 지 맥 신산경표에서 이름을 붙이지 않은 지맥 지 맥 도솔지맥문수지맥비슬지맥영월지맥보현지맥수도지맥여수지맥춘천지맥팔공지맥호미지맥가섭지맥 각호지맥각화지맥갈라지맥감악지맥갑산지맥강화지맥거제지맥검.. 남·북한 정맥·지맥자료/남한의 162지맥 2017.02.08
여암 신경준과 고지도(旅菴 申景濬과 古地圖) 旅菴 申景濬과 古地圖 1712(숙종 38)∼1781(정조 5). 조선 영조 때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菴). 아버지는 신숙주(申叔舟)의 아우 말주(末舟)의 10대손인 진사 내(?)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로 의홍(儀鴻)의 딸이다. 33세 때까지 여러 곳으로 옮겨다니며 살다가 33세.. 남·북한 정맥·지맥자료/산행정보 2017.02.05
산에있는 삼각점 정확히 읽기 삼각점은 2.5km~5km간격으로 대부분 산 봉우리에 설치되며 지명 "?"은 1:50,000지형도의 도엽명이다. ? 옆의 숫자는 삼각점의 등급으로~ 11부터 19까지는 1등 삼각점, 21부터 29까지는 2등 삼각점, 301부터 399는 3등삼각점, 401부터 499까지는 4등 삼각점이다. 숫자의 기준은 1:50,000지형도의 1도엽 단위.. 남·북한 정맥·지맥자료/산행정보 2016.02.04
임진북예성정맥자료 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가. 임진북예성남정맥이란 1. 황해도의 오른쪽 울타리를 이루며 북쪽으로는 임진강, 남쪽으로 예성강의 분수령이다. 해서정맥의 화개산에서 시작하여 학봉산(66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 송악산(488m)을 지나 정맥의 끝은 임진강과 한강의 합수점 .. 남·북한 정맥·지맥자료/1정간 4정맥 자료 2015.06.25
해서정맥자료 해서정맥 (海西正脈) 요약 백두대간의 원산 서쪽에 있는 두류산(頭流山)에서 갈라져 나와 황해도를 남북으로 나누며 황해 연안 장산곶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목차펼치기 1.[내용] [내용] 조선 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 남·북한 정맥·지맥자료/1정간 4정맥 자료 2015.06.25
청남정맥자료 요약 백두대간의 마대산(馬垈山)·낭림산(狼林山)에서 청북정맥과 함께 갈라져 평안남도의 서북쪽으로 이어져 진남포의 대동강 북쪽 하구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목차펼치기 1.[내용] [내용]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맥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 남·북한 정맥·지맥자료/1정간 4정맥 자료 2015.06.25